RME ADI-2 Pro FS R BE 언박싱 및 리뷰

RME ADI-2 Pro FS R BE 언박싱 및 리뷰 조금 전 제 문 앞에 드디어 도착한 제품이 있습니다. 바로 RME ADI-2 Pro 컨버터 제품 중 가장 최신 하드웨어 로 업데이트된 RME ADI-2 Pro FS R “Black Edition” 입니다. 이름이 워낙 길다 보니 입에 짝 달라붙지는 않네요. 지금 부터는 “FS R BE”라는 명칭으로 리뷰를 진행하겠습니다. 현재 소비자 판매가는 대략 $2000로 책정이 되어 있습니다. 올해 초, RMEsms ADI-2 Pro의 최신작을 NAMM 2020에 최초로 선보였습니다. 2018에 어떠한 계기로 RME의 창립자인 Matthias Carastens와 인연을 맺게되어, ADI-2 Pro FS로 다양한 측정을 진행하고 있는 것과 더불어 칭찬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. 코로나 19로 인해 이 제품이 출시된 이후 (Musings 블로그에는 증정, 혹은 장기대여를 하지 않습니다) 제품을 받기 까지는 시간이 조금 걸렸지만, 드디어 도착했습니다. 구성품은 다음과 같습니다. 사진상의 Coaxial S/PDIF와 AES/EBU 브레이크아웃 케이블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구성품의 기존의 제품과 매우 유사합니다. 12V/2A 파워서플라이, 파워 케이블, 영문 및 독일어 메뉴얼를 먼저 확 인할 수 있습니다. 주의하셔야 할 점은 기존의 ADI-2 Pro와 동일하게 전원 잭은 락킹 기능이 있다는 것을 유의하 셔야 합니다. “프로”오디오 장비로 분류되는 만큼 이런 디테일에 정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 습니다. 녹음 중에 전원케이블이 뽑히는 불상사가 발생하면 안되겠죠? 외관을 살펴보았을 때 색상이 검정색으로 바뀐점, 그리고 Black Edition이라는 글씨가 흰색인 점을 제외하고는 전작과 사이즈는 동일한 것으로 생각됩니다. 이 FS R BE 유닛은 DAC 제품군에만 존재했던 리모콘이 포함됩니 다. 이에 대해서는 리뷰 후반에 다시 언급하겠습니다. 두개의 “고출력” 1/4” TRS 헤드폰 잭은 다양한 임피던스 상세더 매우 낮은 왜곡률로 출력합니다. 출력 임피던스 는 0.1옴 으로 측정되며, “High Power” 모드에서 최대 +22dBu (9.75Vrms), 260mA, 또한 채널별 최대 1.5W의 출력을 내어줌으로서 헤드폰을 구동하기에는 차고 넘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. 만일 이 제품의 외관에 대해 물어본다면, 기본적으로는 2-in / 4-out 장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 그 이유는 측면 출력과 헤드폰 PH 1/2잭은 동일한 시그널을 출력하며, PH3/4는 독립된 별도의 DAC 출력 (총 4개의 아날로그 채널)을 사용하기 때문 입니다. PH 3/4번 출력과 1/2번 출력이 별도의 시그널의 전송하는점, 그리고 밸런스 헤드 폰 모드, 그리고 측면의 출력이 연결되었을 경우 헤드폰이 뮤트되는 모드 등 다양한 옵션이 있습니다. 이건 FS R BE에 프로그램되어 있는 설정의 유연성을 잘 나타내느 예시이며, 동봉된 메뉴얼에 얼마나 많은 내용들이 빼곡히 채워져 있는지 이해가 가는 부분 입니다. 아직 초보 오디오파일에게는 이 작은 제품안에 포함된 모든 기능이 너무 과하지는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. 하지만 저 처럼 이러한 기능을 이상처럼 사용하게 된다면 다양한 메뉴와 버튼에 대해 금새 익숙해질 것입니다. 보시다 싶히 22개의 버튼이 탑재된 리모콘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있으며, ADI-2 제품군에 정확하게 커스터마 이징 된 전용 리모콘 입니다. 기본적은 전원 켜짐/꺼짐, 볼륨 컨트롤, 뮤트, 인풋 선택 (coaxial, optical, USB) 와 같은 기능과 더불어 Treble/Bass 튜닝, L/R 밸런스, Loudness (LD) 켜짐/꺼짐과 다른 기능을 볼 수 있습니다. 또한 좌측 상단의 “SEL” 버튼을 사용하여 어떤 ADI-2와 페어링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, 리모콘의 후면에는 “ADI-2 DAC”와 “ADI-2 Pro FS R”로 구분 표기 되어 있습니다. (“SEL” 옆에 위치한 LED가 표시 됩니다) 이제 기존의 Pro FS와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. 상단이 신형 FS R BE / 하단 1. 내부 DAC 칩셋의 업그레이드가 있었습니다. 기존의 Asahi Kasei Microdevices(AKM) 4490에서 4493 으로 개선되었습니다. 제가 알고 있는 RME는 이 칩셋에서 최소한의 왜곡률을 어떻게든 짜내려고 노력한걸 알고 있다보니, 어떠한 결과가 있을지 기대됩니다. 또한 2.5dB의 헤드룸 개선이 되어, 큰 볼륨에서 음악을 청 취하는 분들에게는 좋은 소식일 것이라 생각됩니다. 그 외 퍼포먼스는 RME의 "SteadyClock III” 회로 덕에 이전과 같은 지터 없는 사운드는 여젼할 것으로 예상됩 니다. 가장 눈여겨 볼 점 중 하나는 DAC (및 ADC)에서는 잘 찾아볼 수 없는 4개의 레퍼런스 레벨을 탑재하여 다양한 출력 레벨에서 높은 다이나믹 레인지를 유지한다는 점입니다. Matthias Carstens의 허락하에 ADI-2 DAC의 그래프를 같이 포스팅 합니다. (Audio Science Review) Auto-Reference Level (이하 AutoRef)은 6dB마다 볼륨이 감소하여도 다이나믹 레인지를 일정 수준으로 유 지합니다. 그래프에 따르면 해당 기능이 꺼져 있는 상태와 비교했을 때 굉장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 다. 이 기능은 ADI-2의 디지털 볼륨을 사용 중이며, 헤드폰으로 듣거나 앰프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매우 유용합니다. 헤드폰 및 앰프의 감도에 따라 다르지만, 일반적으로는 -12dB에서 -30dB 까지 볼륨을 낮춘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. “AutoRef” 기능을 켜진 상태에서는 DAC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와 왜곡을 최소한으로 조정 하게 됩니다. 이 기능은 과소평가되긴 하지만, 제가 미래의 DAC에서는 꼭 포함되어 있었으면 하는 기능 중 하나 입니다. 2. ADC 부분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, 여전히 4채널 AK5574 컨버터 듀얼 모드로 탑재되어 있습니다. 스펙에 따르면 아날로그 입력의 THD는 -1dBFS는 -116dB, 그리고 THD+N는 -114dB(0.0002%) 라고 명시되어 있 습니다. 물론 이런 수치들은 바이넬으르 리핑하는 작업이나 홈레코딩에는 아무런 상관이 없지만, 측정에 있어서는 꽤나 중요한 스펙들입니다. 이 장비들에 수치에 있어서 “적합한” 사용 용도는 제가 블로그에서 진행하는 측정 이 외에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. 물론 RME에서는 384kHz 디지털 보정 필터를 적용하여 90kHz까지 "완전히 플랫 한” 주파수 응답을 출력하는 점은 눈여겨 보아야합니다. 보통 층정을 진행할 경우, 입력 레벨을 스테디 레퍼런스(일반적으로 +13dBu 혹은 +19dBu)로 설정합니다.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RME의 하드웨어는 레퍼런스 레벨(+24dBu, +19dBu, +13dBu, +4dBu @ 0dBFS)은 다 양한 입력 레벨에서도 다이나믹 레인지를 최적화 합니다. 이 기능 또한 프로 오디오 장비에서 보통 찾아볼 수 있는 최적화된 해상도를 출력하기 위한 기능 중 하나 입니다. 수년간 ADI-2 Pro FS 를 사용하여 얻은 측정치와 Audio Precision 의 제품을 사용해서 얻은 측정치의 비교에 대해서 여러 질문을 받았습니다. 저는 측정하는게 주 전공이 아니기 때문에 초점은 A 장비와 B 장비간의 비교나, 오디오 AD/DA에서 발생하는 핵심적인 문제에 대해 더 중점을 맞추었습니다. 이런 점에서 RME의 ADC 장비가 수준이 떨어진다거나 그런 생각은 단 한번도 한적이 없습니다. 제가 아는한 Audio Precision APx555 B 시리즈는 AKM5394A ADC를 활용하여 최대 192kHz 까지 측정 을 하고, 그 보다 높은 샘플레이트는 Analog Devices ADC를 사용하여 1MHz 까지 측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 습니다. 단종된 AK5394A 오디오 측정에는 매우 유용한 40kHz 까지 매우 평탄한 노이즈 플로어와 응답 주파수 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하지만 이러한 장비는 ADC 칩셋이 장비의 전체적인 품질을 결정하지 않 습니다. AP는 precise autoranging 이라 불리는 아날로그 시그널 발생기가 있으며, 저 노이즈 노치 필터링, 그리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모듈러 소프트웨어가 존재합니다. 이 모든 기능들이 합쳐져서야 매우 뛰어난 성 능의 오디오 측정기기기 제 성능을 발휘하고, 또한 $28,300 라는 어마무시한 가격에 내놓을 수 있는 것이죠. 위 기기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, "충분히 좋은 기기”는 언제든지 존재합니다! 이미 디지털 오디오는 THD+N과 SINAD, nano/pico/femtosecond 지터, 채널 분리도 등의 측정치를 귀로는 들을 수 없을 정도로 발전했으니 까 말입니다. 최근에 진행한 THD 블라인드 테스트 (링크 :http://archimago.blogspot.com/2020/06/blind- test-results-part-ii-is-high.html) 의 결과만 보더라도, 개개인의 취향과 제품의 높은 성능이 항상 일치하지 않 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입장에서도, 이러한 스펙과 음악 청취 환경이 항상 동일시되지는 않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. 또한 RME ADC는 최대 768kHz와 DSD256까지 처리가 가능합니다. 실제로 오디오 장비를 사용하는데 있어 서 충분하고도 남는 스펙이죠. 특히 DSD를 좋아하시는 분들 중 이 기기를 이용하여 바이넬 리핑을 DSD128/256 로 진행하시면 매우 만족할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. 저는 개인적으로 Native DSD 레코딩을 위해 SoundIt! Pro 를 사용하면서 매우 만족해 했습니다. Audio Precision 제품으로는 전혀 불가능한데 말이죠 :-) 3. IR 멀티-리모튼-컨트롤 “MRC”. 아무래도 리모콘이 추가된 부분이 가장 큰 변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. “R”의 약자는 아무래도 리모콘이겠죠? RME는 몇년 전 RCA 단자와 리모콘을 지원하는 ADI-2 DAC FS 를 출시하며 고품질 컨버터를 찾는 소비자를 위한 시장을 침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고, 이번에 출시한 “FS R BE” 또한 비슷한 맥락의 움직임으로 불 수 있 지 않나 싶습니다. 이젠 리모콘이 지원되고, 전체적인 시스템과 더 잘 어울리는 검정색상, 컴팩트한 사이즈, 음악 재생을 위한 고품질의 DAC와 ADC로 사용할 수도 있고, 케이블 몇개만 더 연결하면 바이넬 리핑 같은 작업을 위 한 ADC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. 다른 곳에서도 설명했듯이, RME의 디자인 철학은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옵션과 설정을 변경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 이 철학은 리모콘으로 대부분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됩니다.만약 오디오룸에 리모콘이 더 늘어난다는 점이 반갑지 않다던가,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MRC가 마음에 들지 않는 다면, MRC의 모든 커맨드 코드를 여기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. 저는 이미 제가 보유하고 있었던 로지텍 1100 리모콘에 “FS R BE” 커맨드를 전부 추가한 상태 입니다. Harmony Remote Software 7 프로그램의 항목 중 “Amplifier” 항목에서 RME 브랜드를 어렵지 않게 찾 을 수 있었습니다. 모델 명에 “RME ADI-2 Pro FS R”을 검색하고 소프트웨어가 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몇가지 절차를 진행하니, 어렵지 않게 클라우드에서 나머지 커맨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었습니다. 오히려 각 버튼을 일일 이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많이 놀랐습니다. 로지텍 하모니 7 소프트웨어. 우측은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버튼과 기능을 설정하는 화면 자세히 살펴보니 기본으로 동봉되어 있는 MRC에 있는 버튼 보다 유니버셜 리모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수 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서 DAC의 업샘플링 필터 설정, 모노 스위치 등등...사용자가 원하면 이러 한 기능 또한 리모콘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 리뷰 마무리...아직은 시간 여유가 없어서 측정은 미루어야 하지만, 당분간 RME ADI-2 Pro FS R BE는 이런 목적으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: 제가 손수 제작한 Raspberry Pi 스트리머와 연결하여 스트리밍을 할 예정입니다. 사진에서 보면 ADI가 얼마나 컴팩트한지, 그 아래에 있는 TEAC UD-501과 Oppo UDP-205와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. 그리고 불이 꺼진 상 태에서는 스트링 기기의 앨범아트와 RME의 스펙토그램이 잘 어울리네요 :-) 2018년 쯤에 제가 이 블로그를 통해 언급했던 Pro FS의 굉장한 사운드 퀄리티는 여전히 동일합니다. 정확하고 깔끔한 사운드는 오디오 프로덕션의 가장 좋은 점과, 가장 나쁜점을 밸런스 XLR 출력을 통해 들려주고, 풀 레인 지 주파수 응답, 리얼한 톤, 높은 다이나믹, 트랜지언스 등등 디 제품의 장점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나열할 수 있습 니다. DAC로서는 Hi-Fi 시스템에 추가하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습니다. 제가 저번에 언급했던 인터 모듈레이션 왜곡에 대한 블로그를 기억하시나요? 아래는 동일한 테스트 결과 입니다. 가장 상단은 “완벽”하게 디지털로 복제된 테스트 신호 입니다. 아래 2 이미지는 RME ADI-2 Pro FS R BE를 루프백으로 캡쳐한 것입니다 : 컴퓨터 -> USB in -> DAC 아날로그 플래이백 -> ADC 아날로그 인 -> 컴퓨터. 이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인터모듈레이션 시그널은 -130dBFS에서 <2.5kHz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만 약 여러분의 시스템에서 “Star Trek tricorder” 왜곡이 발생한다면 DAC에서 발생하지 않는 다는 것만은 확신 할 수 있습니다. 프리앰프, 앰프, 혹은 스피커/헤드폰에서 발생하는 문제라는 것이죠. 바로 이것이 객관적인 측정 을 통한 “정확한 오디오”가 어떠한 것이지 아주 잘 보여주는 예시입니다. 추후에도 ADI-2 Pro FS R BE의 측정과, 실제 사용기에 대해서도 더 많은 아티클로 여러분을 뵙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 블로그 원문 : https://archimago.blogspot.com/2020/08/preview-rme-adi-2-pro-fs-r-black.html

RME Korea Official Website
LOG IN 로그인
  • ABOUT
    • about RME
    • DISTRIBUTOR
  • PRODUCT
    • CARD
    • INTERFACE
    • CONVERTER
    • MADI
    • PREAMP
    • ACC
  • NEWS
    • FORUM
      • SHOP
        • SUPPORT
          • ABOUT
            • about RME
            • DISTRIBUTOR
          • PRODUCT
            • CARD
            • INTERFACE
            • CONVERTER
            • MADI
            • PREAMP
            • ACC
          • NEWS
            • FORUM
              • SHOP
                • SUPPORT
                  RME Korea Official Website
                  SEARCH 검색
                  LOG IN 로그인
                  CART 장바구니
                  RME Korea Official Website
                  • ABOUT
                    • about RME
                    • DISTRIBUTOR
                  • PRODUCT
                    • CARD
                    • INTERFACE
                    • CONVERTER
                    • MADI
                    • PREAMP
                    • ACC
                  • NEWS
                    • FORUM
                      • SHOP
                        • SUPPORT
                          RME Korea Official Website
                          SEARCH 검색
                          LOG IN 로그인
                          CART 장바구니
                          RME Korea Official Website
                          글쓴이
                          내용
                          페이스북
                          트위터
                          카카오스토리
                          네이버 블로그
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
                          구글 플러스
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용약관
                          개인정보처리방침
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업자정보확인

                          상호: (주)사운드캣 | 대표: 박상화 | 개인정보관리책임자: 장진영 | 전화: 1800-7435 | 이메일: pro@soundcat.com

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소: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48길 17, 캣츠타워 | 사업자등록번호: 106-86-57858 | 통신판매: 제 2008-서울용산-0463 | 호스팅제공자: (주)식스샵